■163. Piledriver(强打)作戰
당시 미 합참은 폭 20mile의 DMZ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쌍방이 각각 10mile씩을 후퇴하리라고 예상하였고 또한 주저항선 전방에 폭 10mile의 전초지대를 확보하려면 Kansas선 以北으로 20mile 더 北上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Van Fleet 장군은 Kansas - Wyoming선 일대에서 제한된 목표 공격을 실시하여 적에게 최대한의 손실을 강요하라는 Ridgway 장군의 작전지침에 따라 UN군은 20mile의 전방 진지를 확보하기 위해 Kansas선의 대대적인 요새화와 아울러
☞ 6월 1일부터 ~ 6월 11일 오후 까지 Piledriver 作戰을 개시, 미 제1,9군단은 중공군의 지연전과 강우를 무릅쓰고 [鐵의 三角地]로 진출, 미 제1군단 예하 국군 제9사단과 미 제3사단은 鐵原을, 미 제9군단 에하 미 제25사단과 터어키 여단은 金化를 각각 점령, Wyoming선을 확보하게 된다.
☞ 6월 13일, 이어 兩 軍團은 각각 보전협동의 특수임무부대를 북상시켜 평강에서 합류했으나 주변 고지로부터 중공군의 역습을 받고 철수했다.
☞ 미 제10군단은 국군 제5,7사단과 미 제1해병사단을 투입, 6월 하순 화천호 ~ punchbowl 남단 일대로 진출하였으며,
☞ 동해안의 국군 제1군단도 杆城 ~ 高城을 향해 공격을 계속했다.
☞ 하여, punchbowl 일대를 확보하기 위한 미 제1해병사단의 격전을 제외하고는 아군은 이미 6월중순경 Kansas선의 대부분을 확보하게 된다.
다음에 계속됩니다
東 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