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上 最後의 樂園-Patagonia-
남미대륙의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최남단에 위치한 파타고니아
![](http://kr.img.image.yahoo.com/ygi/gallery/img/23/b7/47dd39de09410.jpg)
![](http://kr.img.image.yahoo.com/ygi/gallery/img/23/b7/47dd39de09411.jpg)
![](http://kr.img.image.yahoo.com/ygi/gallery/img/23/b7/47dd39de09412.jpg)
![](http://kr.img.image.yahoo.com/ygi/gallery/img/23/b7/47dd39de09414.jpg)
![](http://kr.img.image.yahoo.com/ygi/gallery/img/23/b7/47dd39de09416.jpg)
![](http://kr.img.image.yahoo.com/ygi/gallery/img/23/b7/47dd39de09417.jpg)
![](http://kr.img.image.yahoo.com/ygi/gallery/img/23/b7/47dd39de09418.jpg)
파타고니아(Patagonia)라는 이름의 기원은 마젤란이 인류사상 첫 세계일주로 남미대륙의 남쪽 끝 마젤란해협을 통과하기 전, 서양인 최초로 파타고니아 지역에 기항하던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7?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4?1220591029.jpg)
마젤란의 대원들은 기항중 함대에 나타난
원주민들과 어울리게 되었다.
당시 항해기록을 보면
원주민들은 키가 매우 커서 선원들의 키가
그들의 허리정도밖에 오지 않았다.
특히 발이 엄청나게 크고 불그스레한 얼굴에 눈 주위에는
노란원이 그려져 있었다. 짧은 머리털을 하얗게 물들이고
짐승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고 있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9?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7?1220591029.jpg)
순진하고 친절했으며 힘이 세고 식욕이 엄청났었다
[IQ도 낮았던 것으로 추정].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7?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48?1220591029.jpg)
마젤란의 함대는 새로운 동식물이나 광물자원을 채취하는 임무와 다른 인종을 생포하는 임무를 부여 받고 있었다.
결국 2명의 파타고네스["큰 발" 이라는 의미]를 생포하여 창고에 가두지만 얼마후 식량부족으로 아사[餓死]하고 만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5?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6?1220591029.jpg)
파타고네스의 정체는 지금까지도 분명하지 않다. 다만 [발이 큰 사람들이 사는 곳]이라는 뜻의
[파타고니아]라는 지명은 이곳에 처음 도착한 유럽인 마젤란의 함대에 의해
붙여지게 된 것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9?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1?1220591029.jpg)
파타고니아는, 안데스 산맥의 동쪽은 네우켄 강과 콜로라도
강의 남쪽에, 안데스 산맥 서쪽은 칠로에 열도 남쪽에 위치한다. 아르헨티나 영토에 속하는 파타고니아는 네우켄, 리오 네그로,
추부트, ! 산타 크루즈와 티에라 델 푸에고 지방 전체 그리고 부에노스 아이레스, 멘도사, 라 팜파 지방의 가장 아랫 부분을 포함한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6?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1?1220591029.jpg)
칠레 영토에 속하는 파나고니아는 로스 라고스 지방의 아랫 부분과 아이센, 마갈라네스 지방 전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아르헨티나와
칠레 모두 남극 대륙에 속하는 곳을 파타고니아라고 하지는 않는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8?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49?1220591029.jpg)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끄트머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남미대륙의 최남단,
파타고니아(Patagonia)!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6?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1220591029.jpg)
서쪽으로는 안데스의 빙하가 만든 피요르드 지형이,
동으로는 대평원이 펼쳐진 지역이다. 19세기 후반에야 문명의 손길이 뻗치기 시작한
세계 최남단 처녀지로, 여름 평균기온이 9도에도 못미쳐 농작물 재배가 불가능한,
황량한 바람의 땅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5?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2?1220591029.jpg)
이것이 모두 파타고니아를 지칭 하는 말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5?1220591029.jpg)
남위 40도선 이하의 남미 땅 파타고니아는 면적으로는
남한의 약10배나 된다. 안데스산맥을 경계선으로 한 서측 칠레지역은
피요르드 지역으로 되어있고, 동측 아르헨티나 지역은 평원과 사막으로 되어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1?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0?1220591029.jpg)
넓이가 100만 평방km나 되는 이곳은 남미대륙의 남쪽끝,
아르헨티나와 칠레 국경을 중심으로평원과 동토, 빙하, 피오르드, 호수, 화산
그리고 설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2?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1220591029.jpg)
칠레와 아르헨티나 영토의 약 1/3을 점하고 있으나
거주인구(약 200백만명)는 양국 전체인구의 5%도 되지 않는 미개척지이다.
안데스 산맥을 경계로 칠레쪽 파타고니아와 아르헨티나쪽 파타고니아는
환경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45?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9?1220591029.jpg)
칠레쪽 파타고니아는 해안선 일대를 중심으로 피오르드와 빙하로 이루어져습한 날씨를 보이는 데 반해 아르헨티나쪽은 반건조지대의 평원으로 이루어졌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2?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1220591029.jpg)
아직 대부분 인간의 때가 묻지않은 파타고니아에는 20여개의
국립공원과 국가지정보호구가 자리잡고 있다.
가장 유명한 곳은 남부파타고니아의 칠레쪽 토레스 델 파이네
(Parque Nacional Torres del Paine)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3?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40?1220591029.jpg)
아르헨티나쪽의 빙하국립공원
(Parque Nacional Los Glaciares)은 모두 암봉과 숲, 호수와 빙하가 어우러진 풍경을 자랑하며 전세계의 트레커와 클라이머를 불러 들이고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3?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9?1220591029.jpg)
피츠로이는 파이네보다 규모도 작고 트레킹 루트도 짧지만,
풍경이 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오히려 피츠로이 및 쎄로 포인세놋, 쎄로또레등 주요 피크의 높이는 3000m가 넘어 파이네쪽보다 높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30?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5?1220591029.jpg)
파스텔 계통의 푸른빛인 빙하와 호수가 함께 어우러져, 세계의 어느 아름다운 곳과 비교해도 조금도 손색이 없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0?122059102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8?1220591029.jpg)
칠레지역에 있는 Torres Del Paine Park
(토레스 델 파이네 국립공원) 아르헨티나 지역에 있는 Cerro Torre & Pitz Roy
(쎄로토레 & 피츠로이)산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4?1220591029.jpg)
빙하 국립공원(Parque Nacional Los Glaciares) 남한의 3분의 2에 달하는 면적에 13개의 빙하가 들어 선
이곳은 1981년에 유네스코가 인류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23?1220591029.jpg)
파타고니아는 자연적으로 파타고니아안데스와
파타고니아대지로 나뉘며 파타고니아안데스는 해발고도 3500∼3600m의 높은 산이 많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17?1220591029.jpg)
남쪽 끝 지역에서는 해발고도 2000m 안팎으로 낮아지고,
대부분 화성암과 변성암으로 이루어졌으며 표면은
특히 빙하 퇴적물 및 새로운 용암층으로 덮여 있다. 강수량이 많아 남위 39˚∼42˚ 일대는
아르헨티나의 최다 강우지역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59_46?1220591029.jpg)
파타고니아대지는 평균 고도가 300∼1000m에 이르며
동쪽은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와 쥐라기 충적지층으로 이루어져 석유 광맥이 있다.
파타고니아 대지와! 안데스산맥과의 경계는 좁은 저지대이다. 제4기 대빙하기 침식작용으로 생긴 분지·호수가 많아 아르헨티나 호수지방 등 국립공원으로 되어 있다.
★ 태초(太初)의 섬 갈라파고스제도(Galapagos Islands)
*희귀 동물들의 보고(寶庫) 갈라파고스제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갈라파고스 제도는 남미 에콰도르 서쪽 태평양 위에 있는
에콰도르령의 화산섬 제도 크고 작은 18개의 섬과 다수의 암초로 형성되어 있는
에콰도르 영토의 화산섬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7?122065790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23?1220657909.jpg)
500만년 전 화산폭발로 태어난 갈라파고스 제도는
1832년 에콰도르의 J.비야밀 장군이 부하들을 이끌고 개척을 시작,
에콰도르의 영유(領有)를 선언하였다. 그 이후 인구가 증가하여 커피·사탕수수·옥수수·감자 등을 재배하며, 소·돼지·닭 등의 가축도 기르게 되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8?122065790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10?1220657909.jpg)
파나마 운하 개통 이후, 군사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미국의 항공기지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9?122065790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17?1220657909.jpg)
정식명칭은 콜론 제도(Archipelago de Colon)이며.
주도(主島)는 산크리스토발섬이다.
총면적 7,850㎢, 인구 약 1만여명 정도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21?122065790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28?1220657909.jpg)
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은 이사벨라섬(5,800㎢)으로, 최고봉은 아술산(1,689m)이며, 다른 섬들은 대개 작고 평평하다 1535년 에스파냐의 T.데 베를랑가가 발견하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14?1220657909.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63_19?1220657909.jpg)
살고1835년 찰스 다윈이 탐험한 이후 생물 진화론 계기가
된 것으로 유명하며, 1964년 그의 이름을 딴 찰스 다윈 연구소가 만들어져
거북이나 이구아나 같이 멸종위기에 처한 종을 보호하고 있다.
갈라파고스에는 지구상에 서식하는 14종의 거북이중에 11종이 남아 있는데
섬마다 종이 다른 거북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