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情報/상식

24.수작질 (酬酌)의 語源

동천 2017. 3. 26. 17:11

 

수작질(酬酌)語源

'내일 수작(酬酌)질이나 하자'. 멀리서 벗이 찾아 왔다. 얼마나 그리웠던 친구였다. 두 친구가 酒案床을 마주하고 술부터 권한다.

 

 

'이 사람아~ 먼 길을 찾아와주니 정말 고맙네. 술 한 잔 받으시게' '반갑게 맞아주니 정말 고맙네, 그 동안 어떻게 지냈는가?'

 

 

이렇게 잔을 주고받는 것을 '수작(酬酌)'이라고 한다. 왁자지껄한 고갯마루 주막집 마루에 장정(壯丁) 서넛이 걸터앉아 주안상을 받는다. 한잔씩 나눈 뒤 연지분(臙脂粉) 냄새를 풍기는 酒母에게도 한 잔 권한다.

 

 

'어이! 酒母도 한 잔 할 랑가?' 한 놈이 酒母의 엉덩이를 툭 친다. 이때 酒母가 '허튼 수작(酬酌) 말고 술이나 마셔~'한다. 수작(酬酌)은 잔을 돌리며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것이고, 주모의 말은 ‘친한 척 마라. 너 하고 친할 생각은 없다’는 뜻이다.

 

 

도자기병에 술이 담기면 그 量을 가늠하기 어렵다. '병을 이 정도 기울여 요만큼 힘을 주면...'하며 천천히 술을 따른다. 이것이 짐작(斟酌)이다. 짐(斟)은 ‘주저하다', ‘머뭇거리다’ 는 뜻이 있다. 따라서 짐작(斟酌)은 '미리 어림잡는 것'이다.

 

 

무슨 일을 할 때는 우선 속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를 생각한다. 이것이 작정(酌定)이다. '작정(酌定)'은 원래 '따르는 술의 양을 정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무작정(無酌定)' 술을 따르다 보면 잔이 넘친다. 무성의하고 상대방을 無視하는 無禮한 짓이 될 수 있다.

 

아무리 오래 만에 찾아온 벗이라 해도 원래 술을 많이 못하는 사람이라면, 마구잡이로 술을 권할 수는 없다. 나는 가득 받고, 벗에게는 절반(折半)만 따라주거나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상대방의 酒量을 헤아려 술을 알맞게 따라주는 것이 '참작(參酌)'이다.

 

 

判事가 형사피고인의 여러 事情을 고려(考慮)해서 刑量을 定할 때 '정상 참작(情狀 參酌)해 작량감경(酌量減輕)한다'라는 말을 쓰는 것도 술을 따르는 것에서 由來된 것이라 하니, 술 한 잔에도 여러 意味가 있음을 알고 마시면 좋겠다.

 

 

 


 

'生活情報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국세와지방세  (0) 2018.08.30
25,가족호칭  (0) 2018.08.08
23.공소시효 일람표  (0) 2014.02.18
22.관혼상제,일반상식資料   (0) 2011.11.05
21.틀리기 쉬운 한자 표기  (0) 201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