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사진◈ ![]() ![]() 조동윤 남작(1919년2월9일 촬영) ![]() ![]() 1918년 1월 23일 오후 2시경 영친왕의 귀국을 기념하여 촬영된 사진으로 당시 고종을 비롯한각계인사들을 총독부 관료들과 일본 軍警 고위층들이 참가, 총 3장의 기념 사진을 찍었다. 당시 조선을 지배하던 일본 인물들의면면을 보여준다 ![]() ![]() ![]() 마차에 오르려 하는 모습을 찍었다. ![]() 고종의 막내딸로 비운의 일생을 보낸 덕혜옹주가 뒤에 교사들과 수행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수업 광경을 연출한 것으로 보인다.
정중앙에 있는 흰 얼굴의 앳된 소녀가 덕혜옹주다. ![]() 군복차림의 영친왕이 1918년 1월25일 경성유치원을 방문한 모습. (1918년 1월25일 촬영) ![]() 연미복 입은 수행원들과 함께 거수경례하며 플랫폼을 걷고 있다.(1918년 1월26일) ![]() 일본 왕가 장례의식인 봉고제(장례를 하늘에 알리는 의식)가 열렸다. 함녕전에 차려진 일본 신사풍의 제단 앞에서 황실유족과 일본 제관들이 의식을 치르는 ![]() ![]() ![]() 꼬레아니'(1904), 우리나라에 왔던 - 호머 헐버트씨 는 1906년 발간된 (오른쪽)독일 출신 작가의 사진첩에서 나온 것. 그러나 이미 1890년대 초반 발간된 미국 ![]() 오른쪽 ;독일어로 ‘Palastdame’(궁녀), 영어로 ‘ Attendant on The King of 오른쪽은 중국풍 복식 차림의 대원군 , ![]() 상중의 이건 연미복 입은 고종 황제 ![]() ![]() 경성 일출심상 소학교 시절의 덕혜옹주 ![]() ![]() ![]() ![]() 융희황제(순종) 장레식 (국상), ![]() 융희황제(순종) 장레식 (국상), 인산습의 광경을 카메라에 담고 있다 ![]() 금곡으로 향하는 인산 행렬 ![]() ![]() 영친왕, 덕혜옹주를 담고 있는 이 사진은 ![]() ![]() ![]() 영친 왕이 윤덕영 자작(오른쪽)과 총독부관리들의 ![]() 남대문에 도착한 영친왕 1918년 1월13일 오후 9시경 남대문역에 도착한 ![]() 운현궁 양관 ![]() 덕수궁 석조전 의해 1900년말 착공, 1910년 6월 완성되었다. ![]() 한국사진계 선각자인 백오 이해선(1905-1983)선생 ![]() 구한말 황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희귀 사진 발견. ![]() 오열하는 궁녀들 - 조선 마지막 순종효황후 윤씨의 승하일 ![]() 영친왕, 순종, 고종, 귀비엄씨,덕혜옹주(左부터) ![]() 구한말 황족 한자리에 - 왼쪽부터 덕혜옹주, 이방자 여사, 윤황후, 순종, ![]() 대원군의 62세 생일 기념 - 이 사진은 1882 년 8월 한성관무처에서 ![]() 천천히 계단을 올라가 처음 마주친 것은 ![]()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 "일명을 겨우 보존한 짐은 병합 인준의 사건을 ![]()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 1926년 4 월25일(음3월14일) 오전 6시 15분, 1907년(광무11년) 7월19일(음6월10일) ![]() 일제는 한일신협약(정미7조약)을 강제로 ![]() -순종의 인산일 일어난 6·10만세 운동 고종과 순종은 여러 차례 독살설에 휘말린다 1875년 왕세자로 책봉된다. 고종이 숨을 거둔 1919년, 일제에 의해 독살 ![]() -황제는 가고 무덤가는 적막하다 순정효황후는 최후까지 황실의 기품을 잃지 않고 순정효황후는 국권이 피탈될 당시 병풍 뒤에서 ![]()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 례식 ![]() 어떠한 뜻을 지닌, 무슨 사진인지 잘 모르겠다. ![]() 창경궁 인정전은 아닌것 같고 어디지? ![]() 운현궁 양관 ![]() 창경궁 궁내부 사진
![]() 운현궁 양관 |
'朝鮮王朝'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조선시대 사극 보는 순서[왕조가계도] (0) | 2018.07.05 |
---|---|
러일전쟁 종군기자 (0) | 2017.11.20 |
5.조선시대 관직품계 현대직위 비교 (0) | 2017.01.20 |
4.朝鮮王朝 實錄을 유머스럽게 풀이 (0) | 2014.07.12 |
3.조선 국왕들의 일화와 역사 (0) | 201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