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Piledriver(强打)作戰 동쪽으로는 갈수록 산이 많고 교통망이 불량하기 때문에 동부에 국군 제1 군단을, 중동부에는 미 제9군단을, 중서부에는 미 제1군단을 배치하였다. Van Fleet 장군은 3개의 노무사단을 편성하여 미 1개 사단에 노무 1개 사단을 배치하여 Kansas 선을 따라 통나무 및 사낭 벙커와 길고 깊은 교통호를 흡사 第一次世界大戰 때의 것과 흡사하게 7월 1일까지 구축 완료하였다. 대부분의 벙커는 고지 중간에 구축하였고 전방지휘소 및 관측소는 고지 정상에 구축하여 위장망과 위장포로 위장하고 통상적으로 벙커부근의 교통호 전방에는 기관총과 자동화기를 배치고 있었다. Van Fleet 장군은 GOP 및 COP 대신에 일련의 정찰 기지를 전초로 편성하였고, 군 정면에 배치된 일선 부대로부터 我 前哨까지의 종심을 깊게 하고 예비대가 방어진지를 강화하는 한편, 전초부대는 예비대에서 중대~대대규모로 차출, 대략 主抵抗線 전방 2,000m 이상 추진 설치하였다. 이렇게 견고한 방어진지를 구축한 후 Van Fleet 장군은 7월 30일 각 군단장에게 이 선을 主抵抗線으로 간주하도록 지시하게 된다.
東 川
|
'韓國戰爭秘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6.膠着된 戰線의 戰鬪樣相 (0) | 2014.10.02 |
---|---|
■165.膠着된 戰線의 戰鬪樣相 (0) | 2014.10.02 |
■163. Piledriver(强打)作戰 (0) | 2014.10.02 |
■162.美 合參 訓令 (0) | 2014.09.24 |
□161. 美國의 政策 (0) | 201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