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戰爭秘史

■167. 陣地戰 과 高地 爭奪戰

동천 2014. 10. 2. 06:24


■167. 陣地戰 과 高地 爭奪戰



▶陣地戰

이때부터 機動戰은 막을 내리고 Washington 당국의 政策에 따라
38線이 아닌 새로운 선-Kansas-Wyoming선을 주저항선으로
강화되었다.

戰線이 固着되자 山岳地形을 이용 견고한 참호선을 구축하고
我軍의 포격과 항공폭격에 견딜 수 있는 지하벙커와 環狀의 터널을
구축,고지 전체가 거미줄 같이 연결된 진지로 변하였고
이러한 진지는 동해로부터 서해에 이르는 종심 깊은
塹壕線으로 연결되어 全面攻擊은 더욱 어렵게 되고 만다.

▶ 高地 爭奪戰

戰線이 固着되자 쌍방은 前哨陣地와 主陣地를 강화하고
접촉선이 休戰線이라는 합의 때문에 피`아간 유리한 主要高地의
支配權을 둘러싸고 高地 爭奪戰이 격화되기 시작한다.

☞ 전초 거점의 쟁탈전은
51年 가을에 동해안의 月尾山에서 벌어진 이후,
52년 전반기에는 단절되었으나 휴전회담이 암초에 부딪쳐 중단되자
52년 9월부터 11月에 걸쳐 쟁탈전이 시작되었고

☞이 고지 쟁탈전은
52年 6月 第6師團長 백인엽 將軍의
금성 정면의 A.B고지 공격이 거점 쟁탈전의 原型이었다.

☞ UN軍 前哨陣地 가운데 西側으로부터
Berlin高地-Hook高地-不毛高地-Pork Chop고지-白馬高地-狙擊稜線 -首都高地 -指形稜線-斷腸의稜線- 피의稜線-M1高地-X-mas高地
等에서 攻防戰과 역습이 되풀이 되면서 雙方 공히 人的 物的
出血이 極甚했다.

이 전투들은 火力戰과 더불어 백병전에 의하여 一進一退가 반복되고,

高地에 대한
補給支援 및 患者後送에
편리한 헬리콥터가
戰場에 最初로
등장하게 되었으며
펀치볼 北方高地戰에서
처음으로
美 海兵 第1師團에
의하여 헬리콥터가
사용되었다.




다음에 계속됩니다
東 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