義兵抗爭史 군대 해산령을 위하여 일본은 한반도에 분산 주둔하고 있던 [순종]을 협박, 군대 해산 조칙 발표를 강요하고 이완용은 [이등방문]에게 군대 해산시 민심 동요 예방과 왕명을 위반하고 폭동시 진압할 것을 요청하였다. 8월 1일, 일제 한반도 주둔 사령관 [하세가와]가 대대장급 이상 장교 전원을 병들에게는 군대해산계획을 숨기고 [도수 훈련][공과금 지급] 명목으로 표#와 같이 미리 준비한 恩賜(사)金을 지급하자 분노가 폭발했다.
![]() 이날,
표# 한국군 해산 시 사졸 은급금 지급액
![]()
|
'義兵抗爭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5. 군 강제해산 이후의 의병항쟁 영향 (0) | 2020.04.27 |
---|---|
■ 34. 二次 地方 眞僞隊 解散과[閔肯鎬]義兵將 (0) | 2020.04.27 |
■32. 舊韓末 軍事力 (0) | 2020.04.26 |
■ 31. 第三段階 丁未義兵 (0) | 2020.04.24 |
■ 30. [許蔿] 義兵將 (0) | 202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