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 韓國軍 防衛計劃
한국군 방위계획은 1950년 1월말에 성안되었다 하는데...... 陸軍本部는 1949年 12月 27日의 綜合,情報 보고를 바탕으로 몇가지의 可能性있는 方策을 종합분석한 결과, 만약 北傀가 攻擊해 온다면 主攻擊方向은 의정부 축선으로 指向될 것이고, 개성과 연안지역 부대는 助攻으로 견제하며, 기타지역에서는 正面攻勢를 취할 것으로 判斷하고 이를 對備하기 위한 우리의 防衛計劃을 要略하면 다음과 같으며, 당시 사단장의 보직일자는 표#14와 같다.
1, 옹진지구의 第 17 獨立聯隊는 인천으로 철수하여 경인지구의 방어에 참가하고.
2, 개성 지구의 第 1 師團은 적을 지연시키면서 임진강 남안의 방어선으로 철수하며.
3, 동두천 지구의 第 7 師團, 春川地區의 第 6 師團, 주문진지구의 第 8 師團은 적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4, 大田의 第 2 師團, 大邱의 第 3 師團, 光州의 第 5 師團과 首警師를 운용하여 반격하며.
5, 만일 敵을 저지할 수 없는 상황이면 한강선--금강선--소백산맥선--낙동강선에서 순차적으로 적을 지연시킨다.
이 計劃은 美 군사고문단장 로버트 准將이 參謀學校에서 강의한 것을 陸本 作戰局에서 成文化하고, 道路와 橋梁의 파괴계획과 有事時 後方 師團의 수송계획 등을 첨가하여 防衛計劃化하였다고 姜文奉 大領이 證言하고 있으나,,,,,
姜 大領의 後任 作戰局長 張昌國 大領과 作戰課長 丁來赫 中領은 이러한 防衛計劃은 아예 없었다고 證言하고 있으니, 누구의 말이 眞實인지 알 수 없다.
표#13 사단장 보직일
옹진반도 |
문산 축선 |
의정부축선 |
춘천 축선 |
주문진 축선 |
17연대장 |
1사단장 |
7사단장 |
6사단장 |
8사단장 |
백 인 엽 대령 |
백 선 엽 대령 |
유 재 흥 대령 |
김 종 오 대령 |
이 성 규 대령 |
25세 |
27세 |
29세 |
27세 |
27세 |
48, 11,20 보직 |
50,4,22 보직 |
50,6,10 보직 |
50,6,10 보직 |
50,6,10
보직 |
|
서울 주둔 |
대전 주둔 |
대구 지역 |
광주 지역 |
|
수경
사령관 |
2사단장 |
3사단장 |
5사단장 |
이종찬
대령 |
이형근 준장 |
유성렬
대령 |
이응준 소장 |
28세 |
28세 |
58세 |
60세 |
50,6,18 보직 |
50,6,20 보직 |
50,4,22 보직 |
50,4,22 보직 |
다음에 계속됩니다 東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