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절단으로 간 "소대"는 조 나라 혜문왕을 배알하여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저는 이곳에 올 때,역수 가를 지나 왔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강가를 바라 보았더니 조개가 껍질을 열고 있더군요. 그 것을 본 초새가 날라 와서 그 조개를 쪼으려고 했어요. 그러자 조개가 얼른 껍질을 닫게되니 초새는 부리가 조개에 물려버렸읍니다. 그러자 초새는 "이 조개놈아! 이대로 며칠간 비가 오지 않으면 죽고 말 걸!" 하자 조개가 "뭐야. 내가 이대로 네의 부리를 물고 있으면 넌 곧 죽고 말 걸!" "이렇게 서로 버티면서 양보를 하지 않았읍니다. 그러고 있는 사이 어부가 와서 둘 다 잡아 가버렸읍니다." 이것을 보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지금 폐하께서는 연 나라를 치려고 하고 계신데 연 나라가 조개라면,조 나라는 초새입니다. 여기서 두 나라가 다투다가는 결국 두 나라 모두가 지치게 될 것이며, 그 틈에 강대국인 진 나라가 고기잡는 어부가 되어 단물만 빨아 먹게됩니다." 이 말을 들은 현명한 조 나라 혜문왕은 연 나라를 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여 곧 중지해 버렸고, "漁夫之利"라는 고사성어도 여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 |
'古 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 殺身成仁 (0) | 2015.12.18 |
---|---|
■ 騶 己 ( 추 기 ) (0) | 2015.12.18 |
■ 世上 人心(再) (0) | 2015.12.18 |
■ 女子의 嫉妬 (0) | 2015.12.16 |
■ 晉武帝 (0) | 2015.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