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平會盟圖
■ 2.偏狹된 錄勳
그것은 임금의 초대를 받고도 회맹제에 불참한 인물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중의 한사람, 영의정 유성룡, 그는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나 노병을 이유로 불참한다. 그가 쓴 서예문집에 [녹훈 취소를 요구하는 상소와 함께 회맹제 불참을 통보하였고, 선조의 계속된 초대에도 끝내 불참했다.]라고 되어 있다.
☞또 한 사람, 옥중의 이순신을 변호하여 구원한 정탁이다. 그에게 2등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노병을 이유로 불참한다. 그들은 책훈에 의병이 포함되지 않은 사실에 대한 불만이 진짜 이유였던 것이다.
★ 여기서 선조의 공신 책봉이 바르게 되었는가 살펴 보자. 공신 종류에는 3가지가 있다. 첫째, 호성공신(扈聖功臣):왕이 피난 갈 때 따라다녔던 신하들. 둘째, 선무공신(宣武功臣):전장에서 직접 전쟁을 치런 사람들. 셋째, 청난공신( 淸難功臣 ):왜란 중에 반란을 진압한 사람들이 있다.
★1,604년 6월 25일 선정된 공신의 기록에
-호성공신: 86명. -선무공신: 18명. -청난공신: 5명으로 피난 갈 때 왕을 따라다녔던 신하들이 받은 호성공신이 압도적이다.
東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