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吳 起 吳 起 大將軍에 拔擢된 吳子 魏 文侯는 吳子로 하여금 宗廟에 나아가 술잔을 받들어 告하게 한 다음, 그를 大將에 任命하여 魏나라의 要塞인 西河地方을 防衛하게 하였다. 大將에 任命된 吳子는 이웃 여러나라 諸侯들과 76回에 걸친 싸움에서 64回는 一方的인 勝利를 거두었고 나.. 兵 法 2011.12.04
42.吳 起 吳 起 吳子의 仁義思想 賢明한 統治者라면 마땅히 한편으로는 文德과 仁政을 베풀어 國民의 安住를 圖謀하여 國民을 사랑하고 아껴 國家에 대한 國民의 信望을 두터이하고 國民의 愛國精神을 振作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外敵을 防衛하는 데 軍備를 充實히 해야 한다. 이런 實.. 兵 法 2011.12.02
41.吳 起 吳 起 吳子의 仁義思想 吳子는 자기가 지니고 있는 仁義思想을 文侯에게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그의 말을 끝맺고 있다. 敵軍의 侵入을 받아 國家 運命이 백척간두에 놓여 있는데도 國民이 勇敢히 싸우려 하지않는다면 이는 國民으로서의 道理를 모르는 것이며, 敵軍에게 敗하.. 兵 法 2011.12.02
40.吳 起 吳 起 吳子의 仁義思想 孟子는 性善說에 입각하여 仁政을 主張하고, 그와 反對의 입장에서 性惡說을 主張한 荀子는 中國을 統治하는 强力한 中央集權國家를 構想하였다. 그리고 상앙은 富國强兵策을 主張하고, 韓非子는 法治主義를 主張하였다. 그런데 吳子는 孟子보다 50年 먼.. 兵 法 2011.11.30
39.吳 起 吳 起 兵法은 이래서 必要하다 兵法은 戰爭에만 必要한 것이 아니다. 人間의 모든 活動에 兵法은 適用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第一 소중한 것은 모든 條件을 綜合하여 全體的인 立場에서 正確한 判斷을 내리는 才能이다. 鬪志나 鬪魂이 없어서도 안되지만, 적당한 判斷力에.. 兵 法 2011.11.30
38.吳 起 吳 起 名將은 이래서 必要하다 文侯는 만면의 웃음으로 吳子를 歡迎하지 않고 <자네 같은 사람은 필요없네> 하는 말과 다름없는 <나는 戰爭을 싫어하네> 라는 말로 마음과는 정 반대의 命題를 제시해 놓고 吳子의 兵法을 들어보자는 엉뚱한 手段이다. 이렇게 하여 吳子는 .. 兵 法 2011.11.29
37.吳 起 吳 起 老鍊한 政治家 文侯는 입을 다문 채 한동안 날카로운 視線으로 선비차림의 吳子를 내려다 보더니 [나는 원래 平和를 사랑하기 때문에....]라며, 吳子의 유세를 물리치려는 意圖인듯한 말이었다. 吳子로서는 文侯와의 담판의 成敗야말로 一生의 運命을 판가름하게 될 극히 重.. 兵 法 2011.11.26
36.吳 起 吳 起 때는 바야흐로 戰國七雄이 天下를 겨루는 검은 구름이 감돌기 시작할 무렵, 重臣들은 吳子를 向하여, -, 일찌기 30여명의 목숨을 빼앗은 사나이, -,어머니가 죽었을 때도 장례에 가지않은 불효의 사나이, -,출세를 위해서는 사랑하는 아내도 그침없이 죽이는 비정의 사나이 라.. 兵 法 2011.11.25
■ 35.司馬穰苴 [兵法家들] ■ 35.司馬穰苴 왕족인 孟嘗君도 학자,변론가,병법가,정치가 등 지식인 3천명을 식객으로 거느리고 있었고, 그를 찾아오는 모든 지식인들을 우대하여 머물고 싶은 데로 머물게 했던 것이다. 그런데 자칭 지식인이라고 자부하는 젊은 학도들이란 다루기 어려운 존재이어서 이들.. 兵 法 2011.11.25
■ 34.司馬穰苴 [兵法家들] ■ 34.司馬穰苴 孟子도 鄒나라에서 찾아와 齊宣王 을 만나 면접을보았으나 등용되지 못하여 떠난 일이 있다. 제나라에 전해 내려오는 묘한 정책의 하나는 학자를 우대하면서도 관직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晏子의 發案으로 공자와 같이 덕망 높은 사람을 적으로 만.. 兵 法 201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