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0. 1950年 12月末 狀況 ■130.1950年 12月末 狀況 이러한 시점에 [ stand or die] 라는 켓치플레이로 명성을 날린 미 8군사령관 Walton H. Walker 장군이 12월 23일 아침 서울 北쪽 의정부의 美軍部隊를 訪問하는 길에 아들 <샘워커>中尉에게 銀星勳章을 직접 수여하기 위하여 얼어붙은 道路를 맹 속도로 달리다가 뒤에서.. 韓國戰爭秘史 2011.10.29
■129. 1950年 12月末 狀況 ■129.1950年 12月末 狀況 ▶미 8군 작전태세는 실제로 UN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의 중국 본토로의 전쟁확대주장이 미 행정부에 의하여 거부되고 제한된 전쟁을 계속한다는 戰局에서 UN군이 일본으로 철퇴할 경우까지 想定된 바도 있었으니 당시의 판단된 병력대비로서는 증원이나 만주폭.. 韓國戰爭秘史 2011.08.07
■128. 1950年 12月末 狀況 ■128. 1950年 12月末 狀況 ▶950년 12월 20일 UN군은 臨津江 南岸 ~ 華川 ~ 襄陽을 잇는 방어선을 확보하고 西로부터 東으로 * 개성~문산 축선에 미 제1군단(미25사, 터키여단, 한1사, 영29여단) * 의정부 축선에 미 제9군단 (미 24,1기병사, 한 6사,영 27여단) * 금화 축선에 국군 제3군단(한 제2,5,8사단.. 韓國戰爭秘史 2011.08.06
■127. 밀려드는 避難行列 ■127. 밀려드는 避難行列 ▶ UN군이 북한에서 철퇴할 때 북한주민이 대거 남으로 피난했다. 미 제8군의 전후방에서 장사진을 이루었고, 진남포에서는 군함의 갑판위에, 흥남에서는 온갖 수송선에 입추의 여지없이 승선하여 북한 주민의 1/3에 해당하는 3백만 명이 남쪽으로 내려왔다. 이들.. 韓國戰爭秘史 2011.08.06
■126.興南 撤收作戰 ■126.興南 撤收作戰 12월 20일 : 제7사단이 승선을 완료하고 아군의 교두보선은 제3 주저항선으로 축소되었으며 12월 23일 :적의 공세는 더욱 치열해져 공군의 출격 횟수가 161호나 달했다. 12월 23일 11:00 ~14:00시 : 제3사단을 중심으로 한 지상군 병력이 승선을 완료함으로써 흥남철수작전은 .. 韓國戰爭秘史 2011.08.06
■125.興南 撤收作戰 ■125.興南 撤收作戰 ▶미 제10군단에 부여된 임무는 함흥~흥남을 연하는 유리한 지세와 해안선을 활용하여 교두보를 확보하는 것이며, 교두보선은 전초선 및 제1,2,3의 주저항선으로 분류하여 축차적인 타격태세를 갖추어 놓고 예하 부대들을 안전하게 해상 철수시키는 것이었다. 지원부.. 韓國戰爭秘史 2011.08.06
■ 124.興南 撤收作戰 ■124.興南 撤收作戰 ▶ 서북쪽의 상황 변화로 미 제10군단은 흥남지구에서 고립되기에 이르렀고, 원산을 점령하고 있던 미 제3사단이 11월 20일 장진호전투 지원차 북상하였기 때문에 원산에 잔류한 한국 해병대를 포함한 4,000 여명만으로는 중공군에 포위, 고립될 것을 우려하여 12월 9일 .. 韓國戰爭秘史 2011.08.06
□123.장진호 戰鬪 □123.장진호 戰鬪 당시 그가 부대원들에게 우리는 철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적을 격멸하고 후방을 향하여 새롭게 공격하는 것이다 라는 유명한 훈시를 내렸고 이것은 전설이 되었다. ▶ 이 전투에서 해병사단은 전사 743명, 부상 2,872명의 전투손실과 동상으로 인한 비전투손실 3,659명으로.. 韓國戰爭秘史 2011.08.06
□122.장진호 戰鬪 □122.장진호 戰鬪 이 전투는 1950,11,26~12,8일까지 13일간 -40도까지 내려가는 혹한 속에서 격전을 치룬 전투로써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더불어 세계 2대 동계전투에 포함될 정도로 세계 전쟁사에 유례가 없는 처절한 전투이다. 이 전투의 성공은 여러 면에서 전 전선에 영향을 주었다. ▶ 첫째.. 韓國戰爭秘史 2011.08.06
□121.장진호 戰鬪 □121.장진호 戰鬪 ▶11,30,06:00, 해병 2개 연대는 합동작전을 전개하여 하갈우리를 들어서는 德洞嶺 개통에 성공하게 되고 ▶12월 3일, 德洞嶺에서 下碣隅里에 이르는 통로 확보를 위한 치열한 전투가 전개되었으며 5연대의 경우 437명의 병력이 이튿날 새벽에는 194명으로 줄어 있었다. ▶이 .. 韓國戰爭秘史 2011.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