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 反間計 (43) ■ 反間計 B.C. 204년, 劉邦은 前 해에 項羽가 반란을 일으킨 彭越과 田榮 등을 치기 위해 출병한 사이에 楚나라의 도읍인 彭城[지금의徐州]을 공략했다가 항우의 반격을 받고 겨우 滎陽[지금의 河南省]으로 도망쳐 와 項羽의 10萬 大軍에 포위되어 갇혀있는 꼴이 되어 수개월 간 軍糧 수송.. 司馬遷의 史記 2010.02.14
42. ■ 陳 平 (42) ■ 陳 平 "魏無知"의 말을 듣고 漢王은 속이 반이나 풀렸지만 그냥 넘길 수 없다 싶어 陳平을 불러 꾸짖었다. "그대는 장수들의 金`銀을 받고 그 많고 적음에 따라 대우를 달리했다는 말을 들었는데 재주있는 이의 사람 쓰는 법은 원래 그러한가?" "臣은 魏王을 섬겼으나 臣의 말을 들어주.. 司馬遷의 史記 2010.02.14
41. ■ 陳 平(41) ■ 陳 平 때는 BC 205년, 한왕 유방이 형양에서 항우의 계속된 공격에 곤혹을 치루고 있을 때이다. 유방이 陳平을 총애하자 수하 장수 중에 강직하고 과묵한 주발과 관영이 앞장서서 조목조목 진평의 잘못을 짚어 아뢰자 한왕은 진평을 벌 주기 전에 그를 천거한 "魏無知"부터 불러 꾸짖었.. 司馬遷의 史記 2010.02.13
40.■ 蕭何의 食客 鮑生 (40) ■ 蕭何의 食客 鮑生 劉邦은 項羽와 惡戰苦鬪하면서도 人便으로 便紙를 보내 漢中을 잘 管理하고 있다고 치하와 慰勞의 便紙를 보내왔으나 蕭何는 별로 注意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런데 어느날 그의 食客인 "鮑生"이 蕭何에게 말했다. 지금 漢王은 軍隊를 이끌고 밖에 나가 풍찬노숙을 .. 司馬遷의 史記 2010.02.13
37.'See Jeju and die 'See Jeju and die 제주의 모든것 몇 년간 제주도를 여행하며 촬영한 사진들입니다. 해당 항목을 클릭하시면 슬라이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 1 ■ 제주의 바다 (8분 15초) ■ 2 ■ 제주도 2박3일 첫째 날 (4분 40초) ■ 3 ■ 제주도 2박3일 둘째 날 (5분 40초) ■ 4 ■ 제주도 2박3일 셋째 날 (6분 40초) ■ 5 ■ 제주올.. 世界旅行 情報/寫眞으로보는 旅行 2010.02.13
39. ■ 蕭 何(39) ■ 蕭 何 能當一人而天下取 : 한사람을 옳게 써서 天下를 얻을 수도 있고 失當一人而社稷危 : 한 사람을 잘못 써면 나라가 危險할 수도 있다. 이는 筍子가 한 말이지만 소하는 이를 잘 實踐한 人物이다. 소하는 韓信의 才能을 알아보고 "소하가 달밤에 韓信을 좇아가다"라는 古史로 劉邦의.. 司馬遷의 史記 2010.02.13
38. ■ 張 良(38) ■ 張 良 張良은 簫 何, 韓 信, 陳 平과 漢初4傑로 稱해지는 인물이며, 유방을 도와 천하를 통일한 최고의 개국 공신이다. 또한 그는 노인을 공경하고 현명한 이를 존경했던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B.C. 218년, 진시황이 순행 중 博浪沙를 지날 때 천하 장사를 고용해 120근이나 나가는 철.. 司馬遷의 史記 2010.02.13
37. ■ 漢王-劉邦, 敗走하다 (37) ■ 漢王-劉邦, 敗走하다 승리감에 도취된 유방군의 허점을 파악한 항우는 3만 군사로 새벽에 기습공격하여 , 유방군을 질그릇 부수듯 하였다. 숫적으로 20배나 넘는 유방군이 도망가다 곡수와 사수에서 10만이나 넘는 병사들이 물에 빠져 죽었는데, 도망가던 병사들이 한꺼번에 뛰어들었.. 司馬遷의 史記 2010.02.13
36. ■ 劉邦, 項羽를 攻擊하다 (36) ■ 劉邦, 項羽를 攻擊하다 B.C. 205년 3월 : -임진에서 黃河를 건넜으며, -위왕-표가 전군을 이끌고 항복하였고, -이어 하내로 들어가 은왕을 사로잡고 낙양에 들어갔다. B.C. 205년 4월,한왕 유방은 다섯 사람의 제후들의 군사들을 총동원한 56만 명의 대군으로 초나라 공격 길에 올라 항우가 수.. 司馬遷의 史記 2010.02.13
35.■ 楚漢 戰爭의 始作 ■ 楚漢 戰爭의 始作 B.C. 206년 8월(한나라 2년) : 동쪽으로 진격한 지 1년만에 새왕-사마흔,책왕-동예,그리고 하남왕-신양에게 차례로 항복받고, B.C. 205년 1월 : 옹왕-장한의 아우-장평을 사로잡았으며, B.C. 205년 2월 : 진나라의 사직을 없애고,한나라의 사직을 세웠다. 이때 관중의 백성들은 ".. 司馬遷의 史記 2010.02.13